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신약개론: 역사, 문학, 신학

저자/역자 유진 보링 지음, 류호성 외 옮김
정가 50,000원
판매가 45,000
발행일 2017년 9월 20일 초판 발행
정보 크라운판 양장, 1312면
ISBN 978-89-341-1709-4 (93230)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본서는 신약성경과 그 연구를 위한 전반적인 기반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면서 학문적으로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연구 성과를 드러내주는 책이다. 부제에서 보여주듯이 역사, 문학, 신학이라는 삼중 구조를 통해 신약성경이 어떻게 완성되었으며, 그 내용이 무엇인지를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저/역자

작가소개

유진 보링

Texas Christian University의 I. Wylie Briscoe 석좌교수

저서
* Revelation: Interpretation: a Bible Commentary for Teaching and Preaching, 2011
* The People's New Testament Commentary, 2010(공저)
* Mark: A Commentary(The New Testament Library), 2006
* 1 Peter(Abingdon New Testament Commentaries), 1999
* Disciples and the Bible: A History of Disciples Biblical Interpretation in North America, 1997
* The Continuing Voice of Jesus: Christian Prophecy and the Gospel Tradition, 1991
* Truly Human Truly Divine: Christological Language and the Gospel Form, 1984
* Sayings of the Risen Jesus: Christian Prophecy in the Synoptic Tradition(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1982


역자소개

류호성 박사
* 독일 Ruprecht-Karls-Univeritat Heidelberg(Dr. theol.)
* 서울장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왕인성 박사
* 미국 Drew University(Ph. D)
* 부산장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김선욱 박사
* 미국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Ph. D)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배성진 박사
* 미국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 D)
* 사랑의교회 부목사

우성훈 목사
* 영국 Durham University (Ph. D. Cand.)
*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외래교수

목차

제1장 신약성경이란 무엇인가?

1.1. “계약”(Testament) 43
1.2. “새로운” 46
1.3. “신약성경” 47
1.4. 서신과 복음서로서 신약성경 50
1.4.1. 신약성경 문서가 가진 두 개의 근본적인 장르는 모두 내러티브(이야기) 양식이다 51
1.5. 내러티브로서 신약성경: 역사, 이야기들, 그 이야기 53
1.5.1. 신약성경의 중심인물은 역사적 인물, 즉 실제 역사 세계에서 살았고 죽었던 인간이다 53
1.5.2. 처음부터 끝까지 성경은 이 세상 역사에 대한 것이다 54
1.5.3. 성경은 포괄적인 전체 안에 개별적인 이야기를 포함하는 거시 내러티브를 보여준다 55
1.6. 추가 연구 자료 56

제2장 형성: “교회의 책으로서 신약성경” 58

2.1. 교회가 신약성경을 기록했다는 의미에서 신약성경은 교회의 책이다 60
2.2. 교회가 신약성경을 선택했다는 의미에서 신약성경은 교회의 책이다 61
2.2.1. 역사적 개요 62
2.2.2. 신학적인 숙고 70
2.3. 교회가 신약성경을 편집했다는 의미에서 신약성경은 교회의 책이다 74
2.4. 추가 연구 자료 78
제3장 본문 비평(Textual Criticism): 필사본에서 전자 텍스트까지 79

3.1. 신약성경 본문을 재구성하기 위한 자료들 79
3.2. 변형과 그 원인 85
3.3. 본문 비평-“원 텍스트”를 찾아서 92
3.4. 결과: 인쇄된 현대 헬라어 신약성경(들) 98
3.5. 번역에 대한 함축성 99
3.6. 신학적 함축 100
3.7. 추가 연구 자료 101

제4장 칠십인 역에서 NRSV까지: 해석 없이는 어떤 번역도 없다 102

4. 1. 교회가 신약성경을 번역했다는 의미에서 신약성경은 교회의 책이다 102
4. 2. 번역 작업 102
4.3. 성경 해석 역사 104
4.3.1. 유대 공동체에서 번역 104
4.3.2. 초기 기독교에서 종교개혁까지 108
4.3.3. 영어 성경 110
4.3.4. 어떤 번역본이 가장 좋은 번연본인가 125
4.4. 추가 연구 자료 128

제5장 해석된 신약성경 129

5.1. 교회가 신약성경을 해석한다는 의미에서 신약성경은 교회의 책이다 129
5.1.1. 해석: 필요성, 본질, 가치 130
5.1.2. 모든 해석은 관점적이며 해석 공동체 안에서 나온다 131
5.1.3. 진행 중인 해석의 역사적 흐름 134
5.1.4. 교회 역사에서 신약성경 해석 139
5.2. 추가 연구 자료 162

6장 헬라 세계 안에서의 신약성경 163

6.1. 역사로서 신약성경 163
6.2. 알렉산더에서 하드리안 황제까지 헬레니즘 세계 164
6.2.1. 헬라화 165
6.2.2. 마카비 위기 167
6.2.3. 로마의 입성 170
6.2.4. 헤롯 대왕(주전 74-4년)173
6.2.5. 속주로서 유대, 주후 6-66년 177
6.2.6. 주후 66-70과 132-135년의 반란 178
6.3. 추가 연구 자료 181

제7장 헬레니즘 세계 안에 있는 팔레스타인 유대교 182

7.1. 중요한 1차 자료 183
7.1.1. 요세푸스 183
7.1.2. 필로 185
7.1.3. 위서(僞書, Pseudepigrapha) 185
7.1.4. 사해 문서 188
7.1.5. 랍비 문헌(Rabbinica) 193
7.2. 성전, 대제사장, 왕 195
7.3. 회당 196
7.4. 사두개인에서부터 자객들까지(Sicarii): 70년 이전 팔레스타인 유대교 범위 198
7.4.1. 사마리아인들 199
7.4.2. 헬라주의자(헬라파로도 번역됨-편집자주)들과 헬라화된 유대인들 201
7.4.3. 에세네파, 치유자들, 쿰란 언약자들 202
7.4.4. 종파적 세례 운동 205
7.4.5. 열심당원, 자객(Sicarrii), 네 번째 철학(the Fourth Philosophy), 사회적 도적(Social Banditry), 다른 혁명적인 군사 운동 207
7.4.6. 헤롯왕 지지자들 208
7.4.7. 사두개인들 209
7.4.8. 바리새인 211
7.4.9. 땅의 백성(암하레츠), 일반 백성들, 일반 유대교 214
7.5. 예언과 성령 215
7.6. 종말적, 메시아적, 묵시적 소망의 범위 216
7.6.1. 묵시 종말론의 전형적인 특징 219
7.6.2. 묵시주의자와 제국 223
7.6.3. 오실 분-다양한 메시야적 대망 226
7.7. 얌니아(Jamnia)와 “유대교와 기독교의 분리” 235
7.7.1. 얌니아 있는 아카데미 237
7.7.2. 더 제도화된 랍비 지도력 237
7.7.3. 권위적인 정경에 대한 늘어나는 의식 238
7.7.4. 성전 유대교를 대체하는 회당 유대교 239
7.7.5. 이단자들에 반대하는 축도(The Birkath ha-Minim) 240
7.7.6. 초기 기독교인에 대한 유대인의 박해 242
7.7.7. “도의 분리”가 언제 발생했는가? 243
7.8. 추가 연구 자료 244

제8장 유대교 안의 예수 245

8.1. 용어 246
8.2. “역사적 예수에 대한 탐구(Quest) 단계들” 247
8.3. 우리가 역사적 예수에 대해 무엇을 아는가에 대한 요약적 스케치 254
8.4. 추가 연구 자료 271

제9장 예수에게서 바울로 272

9.1. 첫 그리스도인 세대, 주후 30-70년 272
9.2. 첫 이십 년: 예수에게서 바울로, 예루살렘에서 고린도로 273
9.2.1. 이 기간에 대한 자료들 274
9.2.2. 예수로부터 바울-핵심적 사건들 277
9.3. 추가 연구 자료 356

제10장 바울과 바울 서신 358

10.1. 바울의 생애와 사역(주후 50년까지): 서론적 개요 358
10.1.1. 출생과 초기 생애 358
10.1.2. 박해자 바울 361
10.1.3. 사도의 소명 362
10.1.4. 다메섹과 아라비아의 바울 364
10.1.5. 1차 예루살렘 방문-베드로 방문(갈1:18) 366
10.1.6. 바울의 수리아, 길리기아(와 갈라디아?) 사역(“제1차 선교여행”?) 367
10.1.7. 2차 예루살렘 방문-공의회(갈 2:1-10; 행 15:1-29) 371
10.1.8. 안디옥의 갈등과 분리 375
10.1.9. 에게해 지역의 선교(대략 “2차와 3차 선교여행”) 377
10.2. 바울 서신 개론 380
10.2.1. 신약성경과 초기 기독교 서신들 380
10.2.2. 고대 세계의 서신 383
10.2.3. 바울 서신의 형식과 구조 392
10.2.4. 서신 형식에 대한 신학적 조망 397
10.3. 바울의 서신 400
10.4. 추가 연구 자료 401

제11장 에게해 지역 초기 선교 서신들 402

11.1. 데살로니가전서 해석 402
11.1.1. 데살로니가 402
11.1.2. 역사적 배경, 정황, 상황 403
11.1.3. 데살로니가교회 406
11.1.4. 통일성, 삽입 407
11.1.5. 구조와 개요 409
11.1.6. 주석적-신학적 개요 410
11.2. 빌립보서 해석 418
11.2.1. 빌립보: 도시와 교회 418
11.2.2. 기록 연대와 기원 421
11.2.3. 장르 430
11.2.4. 문학적 단일성 430
11.2.5. 구조와 개요 432
11.2.6. 주석적-신학적 개요 433
11.3. 빌레몬서 해석 441
11.3.1. 장르 441
11.3.2. 저작권 442
11.3.3. 정황 442
11.3.4. 연대, 출처, 수신자 446
11.3.5. 고대 세계와 초대교회의 노예제도 447
11.3.6. 구조와 개요 453
11.3.7. 주석적-신학적 개요 453
11.4. 추가 연구 자료 455

제12장 바울과 고린도전후서 456

12.1. 고린도전서 해석 456
12.1.1. 고린도: 도시와 교회 456
12.1.2. 고린도전서의 역사적 배경 458
12.1.3. 문학적 단일성 459
12.1.4. 구조와 개요 459
12.1.5. 주석적-신학적 개요 461
12.2. 고린도후서 해석 482
12.2.1. 구조와 개요 504
12.2.2. 주석적-신학적 개요 505
12.3. 추가 연구 자료 519

제13장 바울의 마지막 서신들 520

13.1. 갈라디아서 해석 520
13.1.1. 갈라디아인들은 누구이며 어디에 있었는가? 520
13.1.2. 기록 연대와 기원: 바울의 생애와 선교에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522
13.1.3. 결과: 편지가 포함된 이야기 528
13.1.4. 편지 유형 529
13.1.5. 구조와 개요 530
13.1.6. 주석적-신학적 개요 531
13.2. 로마서 해석 547
13.2.1. 로마교회: 첫 세대 547
13.2.2. 문학적 단일성 549
13.2.3. 편지 형식, 발신 동기, 목적 551
13.2.4. 구조와 개요 554
13.2.5. 주석적-신학적 개요 556
13.3. 종합적 연구 및 남아있는 문제들 583
13.3.1. 바울에 대한 “새 관점”(New Perspective) 584
13.3.2. “그리스도 안”에 참여하는 것의 중심성 584
13.3.3. 사도직, 바울의 사도성에 대한 도전: 바울의 비방자, 경쟁자, 대적 587
13.3.4. “바울의 생애”: 연대기 문제 590
13.4. 추가 연구 자료 596

제14장 에베소와 바울학파 597

14.1. 로마서 이후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597
14.2. 바울학파 전통 599
14.3. 추가 연구 자료 613

제15장 골로새서, 에베소서, 데살로니가후서 614

15.1. 골로새서 해석 614
15.1.1. 골로새서의 유래와 해석의 다섯 시나리오들 614
15.1.2. 저자 617
15.1.3. 연대 626
15.1.4. 구조와 개요 627
15.1.5. 주석적-신학적 개요 628
15.2. 에베소서 해석 641
15.2.1. 에베소서: 바울학파의 교육 문서 641
15.2.2. 구조와 개요 651
15.2.3. 주석적 신학적 개요 652
15.3. 데살로니가후서 해석 668
15.3.1. 저자와 역사적 배경 668
15.3.2. 데살로니가후서는 바울학파의 저술 670
15.3.3. 결론 676
15.3.4. 구조와 개요 677
15.3.5. 주석적-신학적 개요 677
15.4. 추가 연구 자료 684

제16장 목회 서신과 바울 저작 논쟁 685

16.1. 목회 서신 해석 685
16.1.1. 바울이 디모데와 디도에게 실제로 보낸 편지인 목회 서신 686
16.1.2. 바울학파의 선생이 기록한 위서인 목회 서신 687
16.1.3. 저작 연대, 증언, 정경성 709
16.1.4. 저작 장소 710
16.1.5. 목회 서신의 신학: 연속성과 변화 711
16.1.6. 순서, 구조, 개관 719
16.1.7. 주석적-신학적 개요 721
16.2. 회상: 바울을 위한 노력 736
16.3. 추가 연구 자료 737
제17장 로마와 전승의 통합 738

17.1. 바울과 베드로 전승의 로마 통합 738
17.1.1. 믿음을 표현하는 (바울) 서신 형식이 바울 진영을 넘어 일반화되다 739
17.2. 베드로전서 해석 740
17.2.1. 베드로전서와 초대교회 안에서의 베드로 전승 740
17.2.2. 저자 744
17.2.3. 독자 및 그들의 정황 748
17.2.4. 저작 연대와 저작 동기 750
17.2.5. 저작 장소 751
17.2.6. 자료 752
17.2.7. 장르 755
17.2.8. 구조와 개요 757
17.2.9. 주석적-신학적 개요 757
17.3. 히브리서 해석 762
17.3.1. 히브리서는 편지가 아니다 763
17.3.2. 바울은 저자가 아니다 765
17.3.3. 수신자들은 “히브리인들”이 아니었다 770
17.3.4. 구조와 개요 776
17.3.5. 주석적-신학적 개요 777
17.4. 추가 연구 자료 795

제18장 야고보서, 유다서, 베드로후서 796

18. 1. 야고보서 796
18.1.1. 저자: 예수의 형제, 의인 야고보 796
18.1.2. 서신 803
18.1.3. 초기 기독교에서의 위치 806
18.1.4. 기록 연대와 유래 812
18.1.5. 구조와 개요 813
18.1.6. 주석적 - 신학적 개요 815
18. 2. 유다서 824
18.2.1. 유다와 야고보 824
18.2.2. 유다서와 바울 서신 826
18.2.3. 다른 초기 기독교 문헌들과의 연관성 829
18.2.4. 기록 연대 및 출처 830
18.2.5. 구조 및 개요 831
18.2.6. 주석적 - 신학적 개요 832
18.3. 베드로후서 836
18.3.1. 언어와 문화 837
18.3.2. 장르 838
18.3.3. 시간적 관점 839
18.3.4. 예수 전승과의 관련성 839
18.3.5. 유다서의 사용 839
18.3.6. 바울 서신과 “다른 성경 문헌들”과의 연관성 843
18.3.7. 로마 지역의 다른 초기 기독교 문헌들과의 연관성 843
18.3.8. 증거 자료, 정경화, 기록 연대 844
18.3.9. 이단과 정통 845
18.3.10. 구조 및 개요 847
18.3.11. 주석적 - 신학적 개요 847
18.4. 로마에 있는 교회들: 제 2, 제 3 세대의 기독교인 853
18.4.1. 요약: 서신서들과 초기 기독교의 형성 855
18.5. 추가 연구 자료 859

제19장 예수의 이야기에서 복음서의 이야기로 860

19.1. 하나님의 영감 860
19.2. 개인의 기억력 861
19.3. 공동체의 전승 862
19.3.1. 예수가 말씀한 자료들과 예수에 관한 자료들의 유형 863
19.3.2. 신앙적이고 창조적인 공동체: 전승을 보존하고, 확대하고 그리고 해석하다 867
19.4. 무엇이 최초의 복음서인가? 871
19.5. 추가 연구 자료 937

제20장 마가복음과 복음서 양식의 기원 938

20.1. 복음이란 무엇인가? 장르 문제 939
20.1.1. 마가복음은 예수의 전기였는가? 939
20.1.2. 내러티브 기독론인 복음서 945
20.2. 추가 연구 자료 961

제21장 마가복음 해석 962

21.1. 마가복음에 대한 문학적 접근 962
21.2. 저자 964
21.3. 자료 966
21.4. 저작 연대와 동기 967
21.5. 저작 장소 967
21.6. 구조와 개요 970
21.7. 주석적-신학적 개요 973
21.8. 추가 연구 자료 986

제22장 마태복음 해석 987

22.1. 저자 987
22.2. 자료, 영향, 그리고 전승 988
22.3. 시기 991
22.4. 장소 992
22.5. 마태복음: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재해석 993
22.5.1. 유대인으로서의 마태 993
22.5.2. Q 선교사들: 회당을 근거지로 하는 “유대 그리스도인”(Messianic Jews) 994
22.5.3. 회당 안에 구별된 그룹으로서의 “유대 그리스도인” 994
22.5.4. 전쟁, 얌니아, 자기인식, 그리고 양극화 995
22.5.5. 이방인들 995
22.5.6. 마가복음의 수용 996
22.6. 마태의 기독교 공동체 996
22.6.1. 형식주의 유대교와의 관계 996
22.6.2. 구조와 지도력 999
22.6.3. 사회적 신분 1001
22.7. 신학적 이슈와 주제 1002
22.7.1. 왕국들의 충돌 1002
22.7.2. 윤리: 하나님의 뜻 실천 1002
22.7.3. 성경의 성취 1003
22.7.4. 모세 모형론 1005
22.7.5. 선생 예수; 메시아 비밀의 부재 1007
22.7.6. 임마누엘과 그리스도의 지속적 현존 1008
22.8. 구조: 구성자로서의 마태 1009
22.8.1. 개요 1011
22.9. 주석적-신학적 개요 1012
22.10. 추가 연구 자료 1024

제23장 누가: 신학자, 작가, 역사가 1025

23.1. 신학자 누가: 구속사에 대한 재구성 1025
23.2. 작가로서의 누가: 문학적 특징과 스타일 1044
23.2.1. 장르 1044
23.2.2 언어와 스타일 1045
23.2.3. 구조 1045
23.3. 역사가 누가: 누가-행전과 역사 1053
23.3.1. 누가와 헬라 역사가들 1053
23.3.2. 자료, 전승, 영향력 1057
23.3.3. 누가의 “역사적 정확성”을 평가하는 기준들 1068
22.3.4. 누가 작품의 독특한 특징들 1072
23.3.5. 요약: “창조적 신학자” 또는 “신뢰할만한 역사가”? 1078
23.4. 추가 연구 자료 1079

제24장 누가-행전 해석하기 1080

24.1. 저자와 시기 1080
24.1.1. 누가-행전의 시기 1080
24.1.2. 바울의 동료? 1081
24.2. 장소 1087
24.3. 요약: 누가-행전의 기원, “우리는 이와 같이 로마로 가리라”(행 28:14) 1092
24.4. 본문과 전승 역사 1095
24.5. 주석적-신학적 개요 1100
24.6. 추가 연구 자료 1153

제25장 요한 공동체와 요한학파 1154

25.1. 요한 공동체와 저작물들의 포괄성: 심화 요약 1154
25.2. 요한 전집 1157
25.2.1. 범위와 관계 1157
25.2.2. 저자 1158
25.2.3. 상대적 연대 1163
25.2.4. 절대적 연대: 요한 문헌의 저작 시기 1165
25.3. 요한 공동체와 갈등: 예루살렘에서 에베소까지 1168
25.3.1. 유대와 사마리아와 갈릴리에서의 아르케(ἀρχή, 시작, 원천, 규범) 1169
25.3.2. 에베소를 중심으로 1170
25.3.3. 다른 종교 운동들과의 상호작용 1171
25.3.4. 마지막 해결과 요한 공동체의 통합 1174
25.4. 추가 연구 자료 1175

제26장 요한 공동체의 서신들: 요한계시록, 요한일·이·삼서 1176

26.1. 요한계시록 해석하기 1176
26.1.1. 편지로서의 요한계시록 1176
26.1.2. 예언으로서의 요한계시록 1177
26.1.3. 묵시로서의 요한계시록 1177
26.1.4. 사회적, 정치적 배경 1182
26.1.5. 교회 배경 1186
26.1.6. 자료들, 전승들, 영향들 1191
26.1.7. 구조 1193
26.1.8. 주석적-신학적 개요 1195
26.2. 요한이서 해석하기 1211
26.2.1. 구조 1211
26.2.2. 주석적-신학적 개요 1211
26.3. 요한삼서 해석하기 1214
26.3.1. 구조 1214
26.3.2. 주석적-신학적 개요 1214
26.4. 요한일서 해석하기 1216
26.4.1. 장르 1216
26.4.2. 수신인 1216
26.4.3. 구조 1217
26.4.4. 주석적-신학적 개요 1217
26.5. 추가 연구 자료 1224

제27장 요한복음 해석하기 1225

27.1. 요한복음의 특징 1225
27.1.1. 구조와 이야기 흐름 1225
27.1.2. 기독론: 예수에 대한 요한의 독특한 묘사 1227
27.1.3. 문학적 관점들과 기법들 1229
27.2. 수신자와 목적 1237
27.3. 통일성, 자료들, 구성 역사 1239
27.4. 구조와 개요 1246
27.5. 주석적-신학적 개요 1248
27.6. 추가 연구 자료 1292

제28장 결어: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신약성경 1293

28.1. 성경은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묘사한다 1294
28.2. 성경은 다른 사람에게 말할 수 있는 능력과 영감을 주시는 하나님을 묘사한다 1295
28.3. 성경 이후의 시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탁적 이해는 성경 전체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1298
28.3.1.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계시적 사건들과 성경의 말씀 사이의 수렴은 이미 성경 안에서 시작한다 1299
28.3.2. 신적 계시의 신탁적 이해는 성경 이후의 유대교의 일부 흐름에서 모든 성경에 적용되었다 1300
28.3.3. 교회 역사의 후대 흐름들은 더욱 구체적으로 성경의 교리에 초점을 맞춘다 1303
28.4. 현대신학에서 성경과 하나님의 말씀 1305
28.4.1. 신복음주의 1305
28.4.2. 고전 자유주의 1306
28.4.3. 변증법적 신학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유산 1307
28.5. 추가 연구 자료 1310

추천사

본서는 신약성경의 큰 퍼즐 그림으로부터 각 권의 작은 퍼즐 조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신약학 이슈들을 백과사전식으로 제공해준다. 여기서 만나는 일련의 ‘보충연구’들과 수많은 도표들 및 그림들을 틈틈이 곱씹으며 한 장 한 장 소리 내어 넘기게 될 경우, 본서는 거친 파도와 높은 산악과 같은 신약학의 어제와 오늘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단권 지형도’가 된다.
허주 박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본서는 신약성경의 개론 이슈들을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측면에서 다룬다. 저자는 역사 비평 방법을 사용하여, 신약성경 전체와 각 권의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측면을 폭넓고 심도 있게 검토한다. 본서의 내용들은 대부분 장차 교회의 지도자들이 되기 위하여 신학대학원에서 신약성경을 공부하는 학생들이라면 당연히 숙지해야 하는 필수적인 사안들이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저자가 취하는 입장은 현대 신약학계의 주류가 취하는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독자들은 본서를 통하여 신약성경에 대한 신약학계의 최근의 주요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김병모 박사 /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본서는 신대원 학생으로부터 시작해서 목회자와 학자들까지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유용한 책이다. 본서는 개론임에도 불구하고 개론 수준을 넘어서서 매우 전문적이며 세밀한 학자적 논의들까지도 제시하며 다룬다. 더욱이 저자는 신약이 교회의 책이며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책인 것을 강조하고 있다.
김추성 박사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본문중에

신앙의 책으로서 신약성경은 역사에서 하나님의 구원하는 행위로서 이해되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실제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이야기한다. 신약성경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에서 역사서이다.
(1) 신약성경의 중심인물은 역사적 인물이다.
(2) 성경 전체처럼, 신약성경은 이 세상에 관한 역사이다.
(3) 성경은 포괄적인 전체 안에 개별적 이야기를 포함하는 거시 내러티브(macronarrative)를 보여준다. p. 53


고린도 회당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신약 시대 이후의 것이다. 사도행전과 다른 유사한 문헌적 증거에 의하면 바울 시대에 고린도는 유대인 공동체가 번창했다. 올림픽에 버금가는 이스트미아 경기(the Isthmian Games)가 고린도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데, 각 올림픽 경기를 기준으로 2년차와 4년차에 열렸다. 또한 웅변, 연극, 음악 대회도 열렸다. 고린도는 철학자나 그들의 학파에게는 매력적인 도시였지만 철학적이고 지적인 흐름과 나란히 문화를 경멸하는 수많은 문맹자도 있었다.
성적 방탕 때문에 도시의 평판이 나쁘게 알려졌지만 상업적으로 고린도와 경쟁하는 다른 도시에 의해 과장된 면도 있었다. 각 지역 사원에 “천명의 여사제와_남창”이 있다고 널리 알려진 묘사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이 도시는 다른 큰 항구보다 더 나을 것도, 더 나쁠 것도 없었다. 간단히 말하자면 고린도는 바울이 선교센터로 선택하고 싶었던 도시였고 또 바울이 그렇게 했다. p. 456-457.


“그리스도 안에서”는 이상한 문구다. 바울이 이 표현을 창작한 것은 아니지만(바울 이전에 세례 전승에서 계속 사용된 요소로 보인다, 고전 1:30, 고후 5:17, 갈 3:27_28), 초대 기독교의 개념과 어휘의 주 흐름에 삽입한 것은 바울이었다. 이 개념의 뿌리는 유대교 성경에 나타난 신학의 한 지류에 있는 듯하다. 히브리식 사고방식에는 개인과 그 개인이 구성원이 되는 공동체 간에 분명한 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바울의 용례에 대한 단서는 바울 자신이 인간 존재는 “아담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말했는데(고전 15:22), 여기에서 “아담”은 창세기 이야기의 한 개인이 아니라 아담이 구성하는 인간성을 말한다(롬 5:12_21 주해를 보라). 각 개인들은 자신의 개인적 성품에 의한 인간 존재가 아니라 죄와 유한성을 가진 인류의 한 부분이다. 신자들은 세례를 받을 때 예수 그리스도가 만든 새 인류에 연합된다. 그들은 더 이상 혹은 오직 “아담 안에” 존재하지 않고 “그리스도 안에” 있다. p. 585.


왜 요한일서는 죄와 완전함이라는 이슈로 시작하는가?
요한 공동체 안의 일부는 새롭게 된 그들의 존재가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고 이 세계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은 죄 없는 자들이고 더 이상 진지하게 윤리적 기준을 지킬 필요가 없다고 이해했다. 이것은 아마도 예수의 인성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가현설적 기독론과 연결되었을 것이다. 그리스도는 이 세계의 일부가 결코 될 수 없는 초월적인 영적 존재로 이해되었다. 만일 구원의 사건이 실제로 참된 인간과 관련되지 않고 발생했다면, 성도들은 자신들의 육신적 행위를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일종의 영성을 가정할 수 있다(3:8-10을 보라).
저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성육신을 참되게 알 수 있는 길은 이 세상의 행위 가운데 나타난 믿음을 필요로 한다(2:7-11). 성도들은 무죄한 영적 존재가 아니라 용서받은 죄인들이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은 그의 계명을 지키고 “그가 걸었던 길을 걷는” 것으로(2:6), 예수가 살았던 방식을 성도들 자신의 삶의 패턴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저자는 모방될 수 있는 예수의 특별한 행동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연합 안에 살고 하나님의 사랑으로 결합된 삶을 가리킨다. 그러한 관점은 예수의 삶이 신앙에 있어 중요하다는 것을 확증해 주는데, 예수가 어떻게 살았는가는 성도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있어서 중요하다. p. 1219.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