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신약개론

저자/역자 데이비드 A. 드실바 지음 / 김경식, 김도형, 김세현, 류관석, 류호성, 안세광, 정성국 옮김
정가 50,000원
판매가 45,000
발행일 2013년 12월 13일
정보 사륙배판 변형 양장 / 1,264면
ISBN 978-89-341-1338-6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지금까지의 개론서들 중 가장 방대한 드실바의 신약개론 드디어 출간!

본서는 신약성경 저자들의 사회적, 문화적, 수사학적 배경에 집중한다. 그리고 현시대의 해석학적 방법론들도 각 신약성경의 특징에 맞게 적용해본다. 또한 신약개론서로는 드물게, 본서는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생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러한 학문과 실천의 통합적인 요소들은 본서를 다른 개론서들과 차별을 갖게 한다. 게다가 각 장마다 수록된, 지도, 사진, 등은 학습 효과를 더욱 높여줄 것이다. 저자인 드실바는 프린스턴에서 수학한 후 에모리대학교에서 신약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그는 애슐랜드신학교에서 신약을 가르치고 있다.

[특징]
▪ 사회적, 문화적, 수사학적 배경에 기초한 신약개론
▪ 신약성경 각 권과 오늘날의 목회 현장과의 연결

[추천 독자]
▪ 현대의 학문과 해석학으로 신약성경을 연구하길 원하는 독자
▪ 신약성경이 주는 목회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는 독자

저/역자

작가소개

데이비드 A. 드실바

미국 Princeton University(B.A.)
미국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M.Div.)
미국 Emory University(Ph.D.)
현, 미국 Ashland Theological Seminary 신약학 교수


역자소개

김경식
영국 University of Aberdeen(Ph.D.)
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 조교수

김도형
영국 University of Sheffield(Ph.D.)
현, 서울기독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김세현
영국 University of Sheffield(Ph.D.)
현,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시드니웨슬리신학교 외래교수

류관석

미국 Loyola University(Ph.D.)
현, 미국 시카고한인장로교회 담임목사

류호성
독일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Dr.theol.)
현, 서울장신대학교 신학과 조교수

안세광
미국 Union Theological Seminary(Ph.D.)
현, 나사렛대학교 외래교수

정성국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ninary(Ph.D.)
현, 미국 Biblical Theological Seminary 겸임교수

목차

지도·표 목록 _ 15
추천사 (김병모 박사: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_ 17
추천사 (Peter H. Davids 박사 외 6인)_ 20
저자 서문 _ 23
“해석 기법”란의 사용에 대하여 _ 28
역자 서문 _ 35
약어표 _ 37

1장. 목회적 대응으로서의 신약 _ 41
1. 1세기 초대 교회의 이슈들 _ 42
2. “새” 언약의 형성 _ 45

2장. 초대 기독교의 정황: 필수적인 지표 _ 53
1. 서문: 신구약 중간기의 중요한 발전 _ 54
70인역 _ 59
구약 외경 _ 68
2. 복음서와 독자의 세계에 등장하는 핵심 인물과 구상 _ 78
3. 토라, 성전, 전승: 유대교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 _ 103
4. 유대교 안에서 다양성 _ 116
5. 그리스-로마 종교 _ 129
6. 그리스-로마 철학 학파들 _ 136
7. 그리스-로마 세계의 유대인들 _ 142
8. 그리스-로마 세계의 그리스도인들 _ 150

3장. 초대 기독교의 문화적 사회적 정황 _ 157
1. 정결과 부정 _ 158
2. 명예와 수치 _ 177
3. 후견인 관계와 호혜 _ 185
4. 고대 사회에서 “가족”의 형태와 중요성 _ 196

4장. 사복음서와 그 사람 예수 _ 207
1. 복음서란 무엇인가? _ 208
2. 역사적 예수에서 정경의 복음서로 _ 212
3. 복음서 배후에 있는 건축 구조물들: 구전 전승 _ 216
4. 사복음서의 구성과 관계성 _ 227
스트리터(B. H. Streeter)의 공관복음 문제 해결 방안 _ 237
Q 문서의 내용 _ 240
5. 사중 복음 모음 _ 248
6. 복음서 기자들로부터 우리까지: 복음서의 전수 _ 253
7. 역사적 예수를 찾아서 _ 255
신빙성의 기준들: 요약 _ 265
확인된 사실들 _ 268

5장. 마가복음 _ 277
1. 마가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278
마가복음의 청중은 누구였는가? _ 282
마가복음의 개요 _ 286
2. 마가의 메시지 _ 288
세례 요한 _ 296
해석 기법: 문맥 고찰 _ 319
문화 인식 _ 323
마가복음과 목회적 적용 _ 326

6장. 마태복음 _ 331
1. 마태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331
마태복음의 개요 _ 339
2. 다른 초대 기독교 자료에 대한 마태의 사용 _ 341
마태복음의 고유 자료(M) _ 344
3. 마태복음의 메시지 _ 345
유대 메시아 종파주의에 관한 선언으로서 마태복음 _ 347
4. 하나님 백성의 유산과 교회(ekklēsia)와의 연속성 _ 348
5. 교회 에토스와 규율에 대한 마태의 구성 _ 371
해석 기법: 편집 비평 _ 383
해석 기법: 신약성경 해석에 있어 성경 외적인 자료들의 이용 _3 88
문화 인식 _ 394
마태복음과 목회적 적용 _ 404

7장. 누가복음 _ 411
1. 누가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412
누가복음의 개요 _ 419
2. 기독교 초기 자료에 대한 사용 _ 420
누가복음의 고유 자료(L) _ 425
3. 누가복음의 메시지 _ 426
구약성경에 대한 헬라어와 히브리어 본문의 차이 _ 428
4. 누가복음의 강조점 _ 446
누가복음-사도행전에서 여자의 역할 _ 449
해석 기법: 본문 비평 _ 453
문화 인식 _ 460
해석 기법: 비유 해석 _ 464
누가복음과 목회적 적용 _ 469

8장. 사도행전 _ 475
1. 사도행전의 장르: 사도행전과 고대 사료학 _ 476
2. 사도행전의 강화 _ 479
케리그마: 복음의 선포 _ 481
3. 사도행전의 목적 _ 484
누가복음의 지리 _ 486
4. 사도행전의 구조 _ 486
5. 사도행전의 메시지 _ 487
사도행전의 개요 _ 489
초대 교회 공동체의 모습 _ 495
초대 기독교의 전도 설교 _ 502
6. 사도행전과 역사: 하나의 판례(test case)로서 바울 _ 505
갈리오 비문(신약성경 연대기의 기초) _ 510
해석 기법: 역사 비평 _ 513
해석 기법: 수사 비평(1)-재판에 관한 주제 _ 518
사도행전과 목회적 적용 _ 523

9장. 요한복음 _ 529
1. 요한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530
요한복음과 하나님의 계획 속의 있는 세례 요한의 역할 _ 540
2. 요한복음 배후의 자료들 _ 540
요한복음의 개요 _ 541
요한복음의 문체 _ 545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이야기와 교훈들 _ 549
제4복음서와 역사적 예수 _ 557
3. 요한복음의 메시지 _ 558
제4복음서의 종말론 _ 571
제4복음서의 성례 _ 573
요한복음에 나타난 베드로의 초상 _ 577
해석 기법: 서사 비평 _ 586
문화 인식 _ 592
해석 기법: 사회 과학적 비평 (1)- 더 큰 세상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_ 595
요한복음과 목회적 적용 _ 602

10장. 요한 서신 _ 607
1. 요한 서신에 대한 서론 _ 608
요한일서의 구조 _ 616
2. 요한 서신의 교훈 _ 619
요한일서의 기독론적 “선언”과 자료 비평 _ 621
요한일서와 이그나티우스 서신에 나타나는 사랑의 개념 _ 624
해석 기법: 본문에 나타난 이념적 구조(Ideological Texture) 탐구 _ 629
요한 서신과 목회적 적용 _ 638

11장. 바울 서신 서론 _ 643
1. 바울의 생애에 관한 연구의 문제점 _ 644
2. 그리스도인이 되기 전의 바울 _ 645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의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 _ 646
3. 살아계신 그리스도와의 만남 _ 649
4. 사도들의 이방인 사역 _ 656
바울의 복음과 역사적 예수 _ 657

12장. 갈라디아서 _ 667
1. 갈라디아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668
바울과 초기 유대교에 대한 “새관점” _ 678
2.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반응 _ 683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Faith of Jesus Christ) _ 686
“새관점”에 대한 비평 _ 697
해석 기법: 수사 비평(2)-에토스에 대한 호소 _ 702
갈라디아서와 목회적 적용 _ 705

13장. 데살로니가전후서 _ 711
1. 데살로니가라는 도시 _ 712
2. 데살로니가에서의 기독교 공동체의 형성 _ 713
3. 바울이 남겨 두고 떠난 회중 _ 715
4. 디모데의 방문 _ 717
5. 데살로니가전서 _ 718
6. 데살로니가후서 _ 726
데살로니가전서 2:1-12: 바울은 자신을 변호하고 있는가? _ 728
“불법의 사람”의 발전 _ 736
데살로니가후서 기록 이후 _ 738
해석 기법: 서신 분석(Epistolary Analysis) _ 741
데살로니가전후서와 목회적 적용 _ 745

14장. 고린도전후서 _ 751
1. 고린도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752
2. 고린도전서의 메시지 _ 769
고린도전서에 나타나는 바울의 구약 사용 _ 773
3. 고린도전서를 보낸 뒤부터 고린도후서를 쓰기 전까지 _ 778
4. 고린도후서의 메시지 _ 788
바울의 역경에 대한 목록 _ 790
바울과 허용될 만한 자기자랑에 대한 당시의 관습 _ 793
해석 기법: 수사 비평(3)-주제의 분석 _ 796
해석 기법: 수사 비평(4)-연설의 각 부분들이 가지는 기능 _ 800
고린도전후서와 목회적 적용 _ 805

15장. 로마서 _ 813
1. 로마서의 배경과 기록동기 _ 814
2. 장르와 구조 _ 823
3. 로마서의 메시지 _ 825
로마서의 문학적 통일성 문제 _ 827
로마서에서의 믿음: 누구의 믿음인가? _ 834
유대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은혜와 칭의의 개념 _ 839
바울의 해석학과 쿰란 공동체의 페샤림(Pesharim) _ 842
로마서 7:7-25의 난제 _ 846
율법: 죄의 촉매인가? 하나님의 치료제인가? _ 855
해석 기법: 사회 과학적 비평 (2)-종교의식에 대한 분석 _ 859
로마서와 목회적 적용 _ 862

16장. 빌립보서 _ 873
1. 빌립보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874
2. 장르 및 목적 _ 887
3.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한 바울의 전략 _ 890
바울의 이상한 “감사” 편지 _ 891
빌립보의 바울 적대자들? _ 892
빌립보서 2:6-11의 “그리스도 찬가” _ 897
4. 반대에 직면하여 믿음을 지키기 _ 902
해석 기법: 본문 배후의 상황 파악(“거울 독법” [Mirror Reading]) _ 904
빌립보서와 목회적 적용 _ 908

17장. 빌레몬서 _ 913
1. 역사적 정황과 목회적 목적: 빌레몬서 배후에 있는 이야기 _ 913
2. 빌레몬서에 나타난 바울의 목회 전략 _ 918
그리스-로마 세계의 노예제도 _ 920
3. 빌레몬서의 중요성 _ 923
해석 기법: 탈식민주의 비평(Postcolonial Criticism)과 문화론적 연구 _ 926
빌레몬서와 목회적 적용 _ 931
보충 설명 _ 933

18장. 골로새서 및 에베소서 _ 939
1. 골로새와 기독교 공동체 _ 940
2. 골로새 교회가 직면한 세속 철학에 대한 반론 _ 942
3. 골로새서의 목적 및 메시지 _ 945
골로새서 1:15-20의 지혜 기독론 _ 947
4. 골로새서의 저자 _ 948
5. 골로새서의 기록장소 _ 956
6. 에베소라는 도시 _ 958
7. 에베소서의 저자 _ 961
8. 에베소서의 수신자 _ 969
9. 목적 _ 970
10. 에베소서의 기록장소 _ 972
에베소서와 쿰란 _ 973
11. 에베소서의 메시지 _ 974
해석 기법: 단어 연구와 어휘 분석 _ 978
골로새서 및 에베소서와 목회적 적용 _ 987

19장. 디모데전후서 및 디도서 _ 993
1. 목회 서신의 역사적 배경 _ 994
디다케(Didache) _ 1009
2. 목회 서신의 메시지 _ 1014
윤리 철학에서 말하는 욕망을 이기는 법 _ 1018
사슬에 매여 처형당한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_ 1024
해석 기법: 페미니스트 비평 _ 1026
목회 서신과 목회적 적용 _ 1038

20장. 히브리서 _ 1045
1. 히브리서의 배경 _ 1046
2. 장르와 구조 _ 1057
3. 히브리서의 목회적 전략 _ 1059
4. 초기 기독론에 대한 히브리서의 기여 _ 1073
히브리서의 저자는 어떤 구약성경을 사용하였나? _ 1074
해석 기법: 수사 비평 (5)-감정에의 호소 _ 1078
해석 기법: 편입 본문(Intertexture)의 분석 (1) _ 1084
히브리서와 목회적 적용 _ 1091

21장. 야고보서 _ 1095
1. “야고보서”와 수신자들 _ 1096
야고보서는 얼마나 기독교적인가? _ 1101
2. 구성과 구조 _ 1103
야고보서의 개요 _ 1105
3. 장르와 목적 _ 1106
야고보서와 유대 지혜 문학 전통 _ 1107
4. 야고보와 바울 _ 1109
5. 야고보서의 메시지 _ 1110
해석 기법: 사회 과학적 비평 (3)- 세계관과 에토스 분석 _ 1122
야고보서와 목회적 적용 _ 1130

22장. 베드로전서 _ 1133
1. 베드로전서의 수신자 _ 1133
2. 목회적 문제 _ 1136
3. 베드로전서의 저자 및 연대 _ 1138
4. 목회적 대응 및 수사학적 전략 _ 1142
“시험대”로서 고난 _ 1148
옥에 있는 영들에 대한 선포 _ 1152
초대 교회와 대접 _ 1155
해석 기법: 논쟁적 성격의 본문에 대한 탐구 _ 1156
베드로전서와 목회적 적용 _ 1160

23장. 유다서, 베드로후서 _ 1163
1. 유다서 _ 1164
쿰란 페샤림(Pesharim) _ 1168
에녹 1서 _ 1170
2. 베드로후서 _ 1171
쾌락주의와 베드로후서가 반대한 교사들 _ 1172
제2성전기 유대교에서의 유언 문학 _ 1174
해석 기법: 편입 본문(intertexture)에 대한 분석(2) _ 1178
유다서와 목회적 적용 _ 1180
해석 기법: 서신서에 대한 편집 비평 _ 1182
베드로후서와 목회적 적용 _ 1184

24장. 요한계시록 _ 1187
1. 요한계시록 읽기: 장르에 대한 의문 _ 1188
요한계시록은 실제로 겪은 환상으로부터 유래했는가? _ 1196
요한계시록 배후의 있는 자료들과 기록 단계들 _ 1198
2. 요한계시록의 배경 _ 1200
요한계시록 13장의 다른 측면? _ 1213
3. 요한계시록의 수사학 _ 1219
4. 요한계시록의 교훈: 현실을 다시 그리기 _ 1221
5. 요한계시록과 미래와 종말 _ 1238
요한계시록과 천년왕국 _ 1239
해석 기법: 반복 구조(Repetitive Texture)의 식별과 분석 _ 1244
요한계시록과 목회적 적용 _ 1249

색인 _ 1255

추천사

데이비드 드실바(David A. deSilva)는 내게 정말 필요한 책을 썼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쉽고 읽기 편할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 대한 최근의 학문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역사적, 수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신약성경을 살펴보게 된다. 더욱이 이 책은 실제 목회적인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다. 더 이상 무엇을 바라겠는가? 학생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책은 없을 것이다. 나는 정말로 이 책을 기대하고 있다.
-피터 데이비스 St Stephen’s University 교수-

본문중에

모든 신약의 문서들은-복음서든, 역사서든, 서신이든, 묵시문학이든-아래와 같이 하나 혹은 여러 가지의 목회적 관심사에 대한 대응으로서 나온 것이다. 즉, 제자들의 신앙적 성숙을 위하여, 여러 교회들이 당면한 긴급한 “불”을 끄기 위하여, 핍박에 직면하여 있는 믿음의 증거자들을 격려하기 위하여 혹은 어떤 예기치 못한 새로운 도전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런 문서들이 작성된 것이다. 신약성경에 있는 서신들과 및 요한계시록은 초대 교회에서 제기되었던 관심들과 이슈들의 범위를 우리가 가늠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또 한편으로는 복음서들이 제기하고 있는 것과 똑같은 관심과 이슈들을 다른 방법으로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인식은 우리가 복음서를 표면적 가치(예수의 생애) 뿐만 아니라 목회의 필요를 채워주는 문서로서도 읽어야 함을 깨우쳐 준다. -p.45-

유대 문헌에 관심을 두는 것은 문학적, 신학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신약성경을 이해하는 데 있어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그러나 교회는 강력한 그리스-로마문화 안에서 형성되었으며, 교양인들과 접촉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에픽테토스, 세네카, 디오 크리소스톰, 플루타르크, 키케로(중요한 헬라와 라틴의 저자들이 몇 명 더 있음)는 이방인으로서 기독교문화를 형성하는 데 아주 많은 영향을 준 자들로 신약성경을 연구하는 자들은 이들을 꼭 알아야 한다. 서양 교육에서 고전 연구에 대한 소홀로 인해 바울, 묵시자 요한 심지어 갈라디아서의 대적자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p.388-

바울의 생각을 논의하면서 동성애의 문제를 피해가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일이다. 동성애 문제는 21세기 교회가 당면해 있는 눈에 보이는 도전이요 많은 연구를 요하는 문제이다. 그리고 로마서 1:18-32은 종종 이 논쟁의 최전선에 배치된다. 내가 이해하기에 가장 핵심적인 질문은 이것이다. 동성애 행위는 그리스도인의 삶과 양립할 수 있는가? -p.862-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