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몰트만 신학에서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상관관계

저자/역자 장 성 운
정가 11,000원
판매가 9,900
발행일 2022년 8월 30일
정보 국판변형(144*215) | 212면
ISBN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코로나 19 이후 한국 교회는 급격한 교인수 감소, 대사회적 이미지 실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그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바로 올바른 교회론의 정립이다. 저자는 이런 문제의식을 기초로 몰트만의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다양한 차원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관성을 정립한다. 몰트만의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책은 연구사적 의의를 가진다. 이 책은 몰트만 사상의 장점뿐 아니라 한계를 지적하면서도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우주적 지평을 가지면서도 역사적 토대를 유지하는 교회론이다. 올바른 교회론 정립을 위한 저자의 노력은 위기에 처한 한국 교회에 중요한 사상적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저/역자

작가소개

장 성 운


영남신학대학교 신학과(Th.B.)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했고 동(同) 대학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다. 영남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조직신학 석사 학위(Th.M.)를 받았고 동(同) 대학 일반대학원에서 몰트만의 신학에서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영해제일교회에서 교육전도사로 사역을 시작해 서가정교회(밀양)에서 담임목회자로, 대구대봉교회에서 부목사로 섬겼다. 현재 2013년부터 동촌제일교회 담임목사로 목회하고 있고 영남신학대학교에서 특임교수로 사역하고 있다. 또한, 한국 교회의 실질적 대안이 되고자 ‘성경 중심’, ‘예언자 정신’, ‘개혁신학’이라는 세 가지 지표 안에서 새로운 신학운동을 펼치고 있는 <아신신학연구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의 목회자로
신학이 있는 설교를 통해 말씀의 바른 매개자로 쓰임 받기를 소망하고 있다. 저서로는 공동 저서인(김동건, 김성수, 장성운) 『신학이 있는 묵상 3』이 있고, 논문으로는 “몰트만의 교회론의 구조와 특징에 관한 연구”(영남신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와 “몰트만의 신학에 나타난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상관관계 연구: 역사적 차원과 우주적 차원을 중심으로”(영남신학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가 있다.


역자소개

목차

추천사 김 동 건 영남신학대학교 교수 1

저자 서문 9

제1장 몰트만 그리스도론의 다양한 차원 15
1. 개인적 차원의 그리스도 17
2. 역사적 차원의 그리스도 41
3. 우주적 차원의 그리스도 67

제2장 몰트만 교회론의 다양한 차원 103
1. 종교적 차원의 교회 107
2. 역사적 차원의 교회 125
3. 우주적 차원의 교회 143

제3장 몰트만의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일치성과 괴리 156
1.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일치성 157
2. 몰트만의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괴리 171

제4장 결론 182
1. 장점 및 공헌 182
2. 한계 및 대안 192
3. 한국 교회에 대한 제언 204
참고 문헌
1. 몰트만의 주요 저서 208
2. 단행본 209
3. 편집 서적 209
4. 학술지 210

추천사

이 책의 목적은 몰트만의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관계를 밝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며, 교회는 그리스도로부터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합니다. 이 책은 몰트만의 교회론과 그리스도론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고, 그 한계를 지적했으며,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훌륭한 학문적 기여를 했습니
다. 나아가 이 책은 교회가 어떤 신학적 지평을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동시에 오늘의 교회가 현실 속에서 역사성을 상실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1세기는 세계관과 우주관이 바뀌는 시대이며, 기독교는 그 어느 시기와 비교할 수 없는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정황 속에서, 장성운 박사의 이 책은 한국 교회가 나아갈 하나의 방향을 보여줍니다. 이 책이 추구한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의 바른 관계가 한국 교회를 새롭게 하기를 기대합니다.


김 동 건 영남신학대학교 교수

본문중에

몰트만 신학은 삼위일체 틀 속에서 전개된다. 하지만 그의 신학 중심은 언제나 그리스도다. 그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만이 기독교 신학의 내적 기준이고 기독교적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를 기독교를 증명하는 모든 것으로 본다. 이런 측면에서 몰트만 신학은 삼위일체의 틀 속에 있지만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다.- p.15



몰트만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명 그리고 십자가와 미래를 현재화하는 것은 교회를 필연적이고 희망에 찬 곳으로 이끌어 간다고 말한다. 그리스도의 교회라면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현재화시켜야 한다. 이 현재화를 통해 교회는 그 시대의 책임 있는 교회로 설 것이다. 몰트만에게 있어서 참된 교회는 십자가 아래 서 있는 교회다. 이 말은 그리스도의 길인 십자가의 길을 따를 때 진정한 교회라는 의미다. 즉, 역사 속에서 실천하는 교회가 진정한 교회다. - p.114-115




몰트만 교회론의 특징 중 하나가 종말론적 방향성을 가진 교회론이다. 몰트만이 종말론적 방향을 가진 교회를 강조하는 이유는 교회가 방향을 상실하게 된다면 교회 자신이 희망의 자리에 앉게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교회는 성장을 목표로 삼고 이것이 그의 파루시아라고 생각한다. 교회가 종말론적 방향을 상실했을 때 자신의 교회 성장에만 몰두하고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상실하게 된다.- p.120



몰트만이 제시한 우주적 그리스도는 현재 우리와 함께, 교회 공동체와 함께, 사회와 함께, 자연과 생태계와 함께, 나아가 만유와 함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 교회는 그리스도에 의존하고, 그와 함께하며, 만유 회복이라는 우주적 완성을 향하게 한다. 이 점에서 교회는 우주적 차원이라는 지향점을 가진다고 몰트만은 말한다. 몰트만의 이런 시도는 교회와 세상의 이원화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교회와 자연 사이의 간격도 메워 준다.- p.189



한국 교회는 자기 정체성을 분명히 가져야 한다. 교회의 정체성은 자체 안에 미래의 지평도 함께 내포된 종말론적 현재다. 이런 교회를 꿈꾸어야 한다. 미래의 소망과 미래의 종말을 가진 교회이기에 하나님 나라가 현재 속에 이루어지는 그런 축제, 감격을 보는 소망을 가져야 한다. 한국 교회는 자신을 넘어서는 우주적 그리스도와 하나 되어야 한다. 지금 한국 교회가 축제를 잃었다. 왜냐하면, 우리를 초월하는 것이 상실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이것을 한국 교회가 감당해야 한다.- p.205-206.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