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C는 성경 66권 다음의 67권째 메시지입니다.

영혼 돌봄을 위한 기독교 영성

저자/역자 최창국 지음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
발행일 2013년 2월 28일
정보 신국판 양장 / 624면
ISBN 978-89-341-1282-2 (93230)
포인트 5% 적립
수량(0)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증가 선택상품 갯수 하나씩 감소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하기

도서소개

영혼 돌봄을 위한 기독교 영성

Care of the Soul for Christian Spirituality


본서는 20여 년에 걸쳐 기독교 영성을 연구하고 가르친 결과물이다. 여러 질문들과 씨름하면서 단순히 기독교 영성에 대한 학문적 논쟁에 목표를 두기보다는 영혼에 대한 애정을 가진 사람들의 소리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기독교 영성을 가르치며 사랑으로 양육하기를 바라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특징]

▪ 기독교 영성에 대한 통전적인 고찰

▪ 기독교 영성의 이론과 함께 실제적인 면을 강조





[추천 독자]

▪ 기독교 영성의 이론에 대하 총제적인 접근을 하고자 하는 크리스천

▪ 기독교 영성에 관심을 갖고 있는 크리스천

저/역자

작가소개

영국 University of Birmingham에서 학위(M.A., Ph.D.)를 받았다. 개신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오륜교회 교육전도사, 장암교회 설교목사, 제자들교회 담임목사로 섬겼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과 기독교전문대학원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과 저서는

Dimensions of Christian Spirituality, Spirituality and the Integration of Human Life, “찰스 스펄전의 신학과 설교”, “기독교 영성의 통전적 이해”, “영성과 하나님의 프락시스”(praxis), “영성형성의 실천적 방법으로서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 “구원론적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의 내적 역학”, “몸과 기독교교육: 통전적 교육을 위한 유기체적 인식”, “신앙발달의 유형과 기독교교육”, 『해결중심 크리스천 카운셀링』, 『기독교 영성신학』, 『삶의 기술』, 『영성과 상담』, 『영성과 설교』, 『21세기 실천신학 개론』(공저), 『복음주의 교회성장학』(공저)등이 있고, 역서는 『기독교 교육학사전』(공역)이 있다.


역자소개

저자: 최창국

목차

머리말





제1장 영성과 영혼

1. 철학에서의 영혼

2. 심리학에서의 영혼

3. 기독교에서의 영혼

4. 전인으로서 인간의 이름들

5. 영과 혼과 몸

6. 영과 몸





제2장 영성과 인식

1. 인식의 길

2. 인식의 유형

3. 지식에 대한 여러 이미지

4. 객관주의 지식과 진리

5. 사랑과 변화를 위한 지식

6. 영성적 인식의 특징





제3장 영성과 신학

1. 영적 갈망

2. 영적 체험으로서 신학

3. 영성생활의 유형

4. 영적 수련의 본질로서 사랑

5. 영적 지혜의 장으로서 역사

6. 상대적 독립성으로 영성신학

7. 실천적 규범으로서 영성신학





제4장 영성과 하나님의 프락시스

1. 영성의 자리

2. 영과 영성의 문제

3. 세속사회 안에서 영적 가치

4. 영적 훈련의 특성과 방향





제5장 영성과 구원론적 프락시스

1. 하나님의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

2. 영성훈련 신학의 기초로서 구원론

3. 구원과 영성훈련의 내적 역학

4. 구원론적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의 특징

5. 구원론적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의 방법





제6장 영성과 영적 여정

1. 영적 여정의 메타포

2. 영적 여정의 두 길

3. 영적 여정의 과정

4. 십자가의 요한과 영적 여정

5. 영적 여정의 네 단계

6. 영적 여정에서 인간성과 신앙





제7장 영성생활과 몸

1. 몸과 영혼의 관계

2. 몸과 영혼의 이원론의 기원

3. 몸에 대한 영혼의 우위성

4. 몸과 영혼의 이원성

5. 몸과 영혼의 통일성

6. 몸과 영성

7. 몸과 구원

8. 몸과 영성생활

9. 성과 영성





제8장 영성생활과 정신

1. 영성생활과 일반은총

2. 영성생활과 인간본성

3. 영성생활과 심리적 차원

4. 영성생활과 성격

5. 영성생활과 무의식

6. 영성생활과 정신의 구조





제9장 영성생활과 일상성

1. 일상의 거룩함

2. 일상과 기도

3. 영적 고향

4. 마리아와 마르다

5. 영혼의 작품으로서 일

6. 영혼의 경제로서 돈





제10장 영성생활과 신비성

1. 영혼의 길에서 신비성

2. 신비체험의 시작의 길

3. 신비체험의 첫째 길: 긍정의 길

4. 신비체험의 둘째 길: 부정의 길

5. 신비체험의 셋째 길: 통합의 길

6. 신비체험의 목적지: 사랑의 길





제11장 영성생활과 공동체성

1. 영성과 영혼의 공동체성

2. 공동체적 존재로서 영혼

3. 본질적 우리로서 영혼

4. 외적 공동체와 내적 공동체

5. 공동체성과 코이노니아

6. 허위 공동체와 참된 공동체

7. ‘나-너’로 소통하는 공동체

8. 영혼 돌봄의 장으로서 공동체





제12장 영성생활과 기도

1. 기도와 영혼

2. 기도의 본질

3. 청원기도

4. 묵상과 관상기도

5. 중보기도

6. 기도와 어두운 밤

7. 규칙적인 기도





제13장 기도의 방편과 유형

1. 기도의 방편

2. 기도와 성경

3. 기도와 언어

4. 기도와 무의식

5. 기도와 몸

6. 기도와 감각매체

7. 기도와 창조세계

8. 기도와 예술작품

9. 기도와 성격유형





제14장 금식과 방언기도

1. 성경과 금식

2. 금식의 목적

3. 금식과 영혼 돌봄

4. 금식의 방법

5. 방언의 성격

6. 방언의 목적

7. 방언과 성령세례

8. 방언과 영적체험





제15장 치유와 기도

1. 성경과 치유

2. 치유의 두 유형

3. 치유의 주도권

4. 치유의 동기

5. 치유의 방법

6. 치유와 기도

7. 치유와 믿음의 기도

8. 기도는 플라시보인가?

9. 레드랜즈 실험

10. 기도와 건강

11. 치유기도의 양면성

12. 치유기도의 방법





제16장 영성과 영적 예배

1. 영적 예배

2. 영적 예배와 의식

3. 영적 예배의 차원

4. 영적 예배의 의미

5. 영적 예배와 일상성





제17장 영성생활과 예배

1. 예배의 요소

2. 기도된 말씀

3. 봉독된 말씀

4. 선포된 말씀

5. 노래된 말씀

6. 보여진 말씀

7. 예배의 구조와 순서

8. 예배의 한 실제 모델

참고문헌

추천사

본문중에

한국교회 안에 ‘영성’이란 단어가 혼란스러운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용어사용에 있어서 명확한 구분의 미비에서 기인하는 측면이 크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기로 하자. ‘정신’이란 용어가 인간과 관련하여 단독으로 사용되어 질 때는 ‘인간 본성의 한 요소 또는 국면’을 의미하지만 수식하는 용어가 붙으면 그 의미가 제한되거나 달라진다. 예를 들면, ‘한국인의 정신’ 할 때다. 이때의 ‘정신’이란 의미는 ‘어떤 상태, 지향성’ 등을 의미하게 된다. 이처럼 ‘영성’이란 용어 사용도 이런 맥락과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지 아니하면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영성이란 용어가 ‘어떤 영적 상태’나 ‘지향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면 모든 기독교적 경험이나 행위는 영성이 되어버린다. 하나님 경험, 기도, 경건, 예배 등은 모두 영적 경험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본문 119쪽





확실하게 기도는 우리 자신을 넘어서는 공동체적인 활동이다. 우리가 하나님을 만물의 중심으로 믿을 때, 우리의 기도는 공동체적이고 사회적인 의미를 가진다. 우리는 하나님과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가 유기적인 관계 안에 있다는 것을 안다. 우리가 하나님 안에서 만물의 유기적인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실제로 기도할 수 없다. 만약 우리가 일상의 삶과 기도를 분리해 버린다면, 그것은 마치 돼지들이 도토리를 먹으면서 그들에게 생명을 주는 태양이나 양분을 취하게 되는 하늘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고, 도토리나무의 진정한 뿌리가 어디로부터 왔는지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일상에서 누리는 모든 것에는 하나님의 손길과 수많은 사람의 수고와 자연의 재료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듯이, 우리의 영적인 경험도 이러한 모든 것들과의 관계 안에서 발생되는 것이다. 유진 피터슨은 기도는 모든 사회적, 정치적인 영역으로 울려 퍼지는 ‘자아를 허무는’(unselfing) 과정으로 이해했다.

-본문 326쪽

Quick Menu

  • 통합검색
  • P&R
  • 밀알서원
  • 총판
  • 전자책
  • 연락처
  • 페이스북

문의전화 02.586.8762

페이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