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국 교회가 어떻게 성숙한 신학과 분명한 윤리 의식을 갖춘 미래 세대를 키울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실시함에 있다. 그동안 한국 교회들은 주로 교회 성장과 선교에 많은 힘을 쏟았으나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만약 이제라도 교회들이 주일학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잘 실시하여 교회에 속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신학에 기초한 올바른 신앙을 주입하고, 동시에 가정을 잘 세워서 건강한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인성 교육을 잘 시키게 한다면 미래의 한국 교회는 소망이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인적 기독교 교육』은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방향성을 한국 교회에 제시할 것이다.
추천사 1 (엄예선 박사: 풀러신학교 가정상담, 한국가족학 교수) 5
추천사 2 (박장순 박사: 파사데나 새소망장로교회 담임 목사) 8
저자 서문 10
제1부 기독교 가정 교육의 역사적 고찰
제1장 구약 시대의 기독교 교육 18
1. 족장 시대(부족 시대)의 교육 18
2. 초기 이스라엘의 교육 23
3. 후기 이스라엘의 교육 35
제2장 신약 시대의 기독교 교육 43
1. 예수님의 교육 43
2. 사도들의 교육(초대 교회의 기독교 교육 역사) 49
제3장 교부(속사도와 교부) 시대의 기독교 교육 57
1. 교부(속사도와 교부) 57
2. 시대적 배경 58
3. 교육 59
4. 교부들이 말하는 기독교 가정 교육의 중요성 62
제4장 중세 시대의 기독교 교육 64
1. 중세 초기의 시대적 배경 64
2. 중세 시대의 기독교 교육의 목적과 내용 65
3. 중세 시대의 가정 교육 66
제5장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교 교육 68
1. 종교개혁 시대의 특징 68
2. 종교개혁 시대의 교육사상의 의미 69
3. 종교개혁 시대의 가정 교육 69
4.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교 교육자 71
제6장 근대와 현대의 기독교 교육 79
1. 코메니우스의 가정 교육관 80
2. 호레이스 부쉬넬의 가정 교육관 82
3. 현대 가정의 기독교 교육 89
제2부 전인적 기독교 교육
제1장 일반적인 전인 교육에 대한 견해 96
1. 전인 교육의 정의 97
2. 전인 교육의 역사적 변천 100
3. 전인 교육의 원리 106
제2장 성경적인 기초 109
1. 예수 그리스도가 실시한 전인 교육 109
2. 디모데후서 3:14~17에 나타난 전인 교육 111
제3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 112
1.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이해 112
2.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목적 114
3.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정의 115
4.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범위 116
5.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장 118
제3부 가정을 통한 전인적 기독교 교육
제1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목표 124
1. 부모의 우선순위 124
2. 부모의 목표 126
제2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가정의 역할 128
1. 기독교 가정 교육의 중요성 129
2. 기독교 가정 교육의 목표 130
제3장 가정을 통한 전인적 기독교 교육 실시를 위한 프로그램들 133
1. 교회가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134
2. 부모가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150
제4부 기독교 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
제1장 기독교 교육의 문제분석 164
1. 뚜렷한 교육철학과 방향 부재의 문제 165
2. 교육 과정의 문제 168
3. 교회 활동의 문제 170
4. 타임케어식(교회에서 몇 시간만 돌봐 주는 형식) 교육의 문제 174
5. 기독교 교육이 교회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제 178
6. 하나님 말씀과 삶의 연결 부재 현상의 문제 182
7. 무분별한 프로그램 수용의 문제 186
8.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비전 제시에 대한 문제 189
9.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의 창조와 개발의 문제 194
10. 형식적인 것과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의 문제 197
11.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를 위한 신앙 교육의 문제 202
12. 주일학교 어린이와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 210
13. 가치관 상실의 문제 214
14. 주일학교에서 하나님 말씀에 대한 교육의 문제 218
15. 요약: 기독교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 233
맺는말 236
참고문헌 242
엄 예 선 박사
풀러신학교 가정상담, 한국가족학 교수
한국 교회와 이민 교회는 현재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위기의 근저에는 목회자와 성도들의 신학적 성숙성의 결여와 윤리의 부재 문제가 자리잡고 있다. 만약 우리의 다음 세대들도 이러한 문제 들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한국 교회와 이민 교회는 소망이 없 어 보인다. 많은 경우 목회자와 성도들의 신학적 미성숙은, 그들이 어린 시절에 주일학교에서 받은 문자주의적 성경 해석에 기초한 율 법주의적이고 기복신앙적인 교육의 결과이다. 이것들은 쉽게 변하지 않고 평생 동안 그들의 삶과 신앙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신학교 교수들은 학생들을 가르침에 있어서 그들이 주일학교 교사들을 이길 수 없다는 자조적인 말을 때때로 한다.
그러면 앞으로 한국 교회가 어떻게 성숙한 신학과 분명한 윤리 의식을 갖춘 미래 세대를 키울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실시함에 있다. 그동안 한국 교회들은 주로 교회 성장과 선교에 많은 힘을 쏟았으나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만약 이제라도 교회들이 주일학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잘 실시하여 교회에 속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신학에 기초한 올바른 신앙을 주입하고, 동시에 가정을 잘 세워서 건강한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인성 교육을 잘 시키게 한다면 미래의 한국 교회는 소망이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동규 목사님의 『전인적 기독교 교육』은 한국 교회에 의미 있는 공헌을 할 것이다
박 장 순 박사
파사데나 새소망장로교회 담임
하나님의 교회에 주어진 사명 중에 하나는 기독교 교육이다. 하지만 현대 교회에서 기독교 교육의 위치가 점점 갈수록 희미해지는 것 같아서 무척이나 안타까움이 있다. 특히 세속화로 급변하는 문화 속에 직면해 있는 자녀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전인적 기독교 교육을 확립해 주는 것은 미래 교회의 생존에도 지대한 영향이 있다고 본다.
이런 면에서 본서는 모든 교회 지도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대한 완결판이라 할 수 있다. 본서에는 이동규 목사님이 오랫동안 기독교 교육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연구해 오신 깊이가 실려 있을 뿐 아니라, 본인이 목회 현장에서 직접 부딪치며 적용하고 고민하신 실제적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누구나 본서를 통해서 저자의 열정과 겸손에서 우러러 나오는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대한 확실한 이론과 실천을 쉽게 만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또한 바라기는, 본서를 통해서 다시 한 번 미국 이민 교회와 한국 교회에서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방향이 제시되면서, 교회와 가정이 한 팀으로 신앙의 전인 교육을 우리 자녀들의 삶 속에 심어주는 아름다운 모델들이 나타나기를 소원해 본다. 『전인적 기독교 교육』을 통해서 자녀들이 올바로 성장하고 한국 교회가 부흥 성장할 것이다.
가정은 신앙 교육의 일차적인 장이며, 그래서 가정은 신앙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그리고 부모는 자녀의 신앙을 위한 일차적인 신앙 교사이다. 히브리 민족은 교육의 공동체로서 그들의 삶 자체가 교육이었다. 교육적인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민족적인 선민 공동체, 부족 및 씨족 공동체, 가족 공동체, 회당 공동체가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가정은 기본적인 공동체로서 히브리 민족 종교 교육의 중심이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34~35p
교육기관의 폐쇄현상은 기독교 교육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2-3세기 무렵 회심한 이교도들을 위해 세워졌던 문답학교와 교회의 지도자, 문답학교의 교사 등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했던 고등문답학교도 야만족의 침입 이후 점차 폐쇄되었다. 교육기관의 폐쇄와 학문의 침체현상은 8세기 말 챨스(Charlemagne)대왕에 의한 학문과 교육의 부흥운동이 시작되기 전까지 그대로 지속되었고, 다른 한편 수도원학교(Monastic School)와 대성당학교(Cathedral School)라고 불리는 교육기관을 통하여 실시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등장하도록 했던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65p
르네상스 시대의 기본정신인 인본주의 사상은 교회의 교리와 신앙에 근거하여 인간과 세계를 해석하려는 것에서부터 탈피하여 개인의 자율성과 가정생활 그리고 공동체생활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것은 인간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와 함께 인간의 의지와 인격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간 중심적인 교육으로 발전하였다. 이 시대에는 사실주의 영향으로 인하여 교육은 이전의 피상적이며 관념적인 교리 중심의 교육에서 자연과 자연법칙에 근거하여 인간의 심리작용과 감각에 의하여 지식의 형성을 이루는 감각적 사실주의 교육으로 넘어갔다. 이러한 감각적 사실주의 교육은 코메니우스를 통하여 이론적이며, 실천적 기초가 정립되었다. -79p
또한 매슬로우는 인간의 특성에 대하여 언급하기를 자발성, 수용적 태도, 민주적 인격, 공동체적 감정, 창의성 등을 포함시킨 14가지를 언급하였다. 매슬로우의 이러한 특성들은 교육이 인간 특성의 전체적인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인간의 지, 정, 의를 전체적으로 계발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전인격과 관련되어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며, 현대사회의 전인 교육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것과, 주체적인 것, 그리고 창의적인 참여를 강조하며, 학교 교육만이 아니라 가정 교육과 사회 교육의 조화로운 관계를 중요시한다.-105p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장을 많은 사람들이 사회와 교회와 가정을 들어 논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가정에서의 자녀들의 신앙 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기에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장으로 가정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기독교 가정에서의 교육은 가족 구성원 간의 사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되는 것이며, 가정에서 배우는 것은 곧 생활화되고 습관화가 된다. 따라서 자녀들의 조화로운 성장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인 교육의 현장은 가정이 되어야 한다.
가정은 신앙 교육의 가장 기초적인 장이다. 기독교 교육은 신앙 교육이고 신앙 교육은 전인 교육이어야 한다. 가정은 전인적 신앙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나가는 곳으로 가정은 여러가지 기능을 가졌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은 종교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신앙 교육에 책임을 가져야 한다(신 6:5-7). -11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