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신학 시리즈]
CLC의 <21세기 신학 시리즈>는 미국의 Paulist Press가 기획한 "What Are They Saying Sbout..." WATSA 시리즈 중에서 적절한 책을 엄선하여 출판하고 있습니다.
Paulist Press의 WATSA 시리즈는 신학의 여러 논점들에 대해 최근 학자들의 입장을 소개하고 비판하는 학문적인 책을 출판한다. 이로써 세계 신학자들과 신학도들에게 유익을 끼치고 있다.
[특징]
▪ 본서는 “Paullist Press 21세기 신학 시리즈”의 13번 째 책으로 최근 30년간 발전해온 히브리서 연구의 동향을 간략하지만 명료하게 알려주고 히브리서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자료들을 소개한다. 역사 비평적이고 설교학적인 주석서와 히브리서의 역사 및 지리적 배경과 사회 종교적 환경, 본문구조와 문학적 요소들, 저자 등에 대해 연구한 서적들, 그리고 히브리서가 구약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다룬 서적들과 히브리서의 신학을 논하는 서적들을 소개한다. 이와 더불어 각 주제에 따른 서술을 해나간다. 각 장 말미에 저자는 자신의 ‘평가’를 실어 독자들이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는 히브리서가 “글로 기록된 설교”라는 점이 학계에서 합의된 사항임을 주지하면서 히브리서 메시지를 우리 믿음의 삶에 적용시킬 것을 강조한다. 이 한 권의 작은 책 속에 히브리서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과 자료가 들어 있어 좋다.
역자서문 5
제1장 오늘날 히브리서 읽기 9
제2장 히브리서의 난제들 31
제3장 히브리서와 “구약성경” 61
제4장 히브리서 신학 89
참고문헌 121
다양한 비기독교적 배경에 대한 허스트의 비평적 개관은 보통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필론 저작도, 플라톤주의도, 쿰란문서도, 영지주의도, 사마리아주의도, 유대 메르카바 신비주의도 히브리서의 언어와 사상의 기원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 제안된 “배경들” 하나하나가 히브리서의 단락들을 밝혀내는 데 일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평행선들은 절대로 만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학적 분석에서 드러나는 병행구절들의 존재가 직접적인 영향이나 접촉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허스트에 의하면, 히브리서와 관련해서 이 병행구절들이 보여주는 것은 구약성경의 교훈을 다른 변화하는 환경에 적용하려는 시도이다. 이 병행구절들은 이것들의 상호의존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구약성경의 중요성과 유대 묵시 전통에서 이루어진 구약성경의 발전을 밝혀준다.
- p.37
히브리서 저자에 의하면, 믿음의 공동체에게 약속된 도성에 들어가게 될 단체는 민족적이지도 않고 외부인들에게 적대적이지도 않다. 존슨은 히브리서와 사도행전 7장의 스데반 그룹 사이에서 몇몇 연결점을 찾아낸다. 이 스데반 그룹에는 규칙도 영구적인 구조도 거의 없다. 가장 중요한 관계는 거룩하게 하는 그리스도와 거룩해진 신자들 사이의 관계이다. 이런 사회에서는 죄는 주로 내부적이며 윤리적이고, 예식에 대한 강조가 거의 또는 전혀 없고, 정결은 제의적 측면에서보다는 도덕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고난은 훈련으로 간주된다. 존슨에 의하면, 레위 제도에 도전함으로써 히브리서 저자는 1세기 유대교의 특수한 상징들에 도전했다. 그는 레위 귀족 계급 대신에 그리스도를 제시하고, 외부인이 신자 공동체에 들어오는 것을 장려했다(그는 이것을 외부인을 맞아들여서 하나님의 도성에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 p.43
최근에 히브리서 연구가 이룩한 가장 신선하고 뛰어난 발전 중 하나는 명예와 수치(데이비드 드실바), 메리 더글라스의 그룹-그리드 사회 분석(리차드 존슨), 피터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의 지식사회학에서 차용한 정당화 이론(유티소네 살레바오) 등 다양한 사회학적 모델을 적용하여 본문과 그 배후의 공동체 상황을 조명한 것이다. 이 연구들은 히브리서가 어떻게 명예와 수치를 다시 정의하는지, 당시 대부분의 유대교의 폐쇄적이고 위계질서적인 생활 방식에 비해 어떻게 개방적이고 유연한 공동체 생활을 장려하는지, 어떻게 구성원들의 정체성과 관계를 강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사회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신약성경의 본문을 분석하는 데 방법론적 반대(시대착오적이다, 환원주의적이다 등)를 제기할 수도 있지만, 이 세 히브리서 연구는 본문을 아주 성공적으로 조명하고, 본문을 1세기의 사회적 환경에 배치하고, 오늘날의 독자들이 본문 배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있었는지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 p.59
결론적으로 린다스는 히브리서에서 오늘날 많은 사람이 낯설게 여기거나 문제시할 수도 있는 모습들을 지적한다. 그리스도 중심적인 배타주의, 분명히 자의적인 성경 사용, 희생제사를 핵심 범주로 사용하는 것, 세례 이후의 죄를 엄격하게 다루는 것 등이다. 히브리서의 긍정적인 공헌은 특히 강하게 감정적으로 호소하는 것과, 우리의 믿음의 선구자와 완성자인 그리스도(12:2)를 강조하고 그의 제사장직의 목회적인 본질을 강조하는 데 있다. 린다스에 의하면, 기독교 목회자의 제사장직과 관련해서 히브리서는 이 개념의 합법성을 긍정하는 데도 사용되고 부정하는 데도 사용되어 왔다. 그 주된 이유는 히브리서 본문이 이 주제를 전혀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 p.92
제사장직과 희생제사를 다루는 책들이 공통적으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새로운 장이 열렸다.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 이후로, 이 히브리서 주제들을 다루는 연구의 배후에는 언제나 목회자의 제사장직과 미사의 희생제사-히브리서는 이 두 이슈를 드러내놓고 거론하지는 않는다-를 둘러싼 신학적 논쟁이 놓여 있었다. 초점의 이동은 히브리서가 다루는 이슈들에 집중하게 만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전통적인 신학적 논쟁을 다룰 때 공통적인 근거에 도달하게 해줄 수 있다.
- p.117